이 세션에 대한 기본 설정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고객님의 계정 설정을 영구적으로 변경하려면 내 계정으로 이동하세요.
원하는 수령 국가 또는 사용 언어를 내 계정에서 언제든지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beauty2 heart-circle sports-fitness food-nutrition herbs-supplements pageview
클릭하여 iHerb 접근성 정책 보기
₩40,000 이상 주문 시 무료배송
iHerb 앱
checkoutarrow
KR

불안을 완화하는 카바

36,063 조회수

anchor-icon 목차 dropdown-icon
anchor-icon 목차 dropdown-icon

‌‌‌‌카바란?

카바카바(Kava kava) 또는 피퍼 메티스티쿰(Piper methysticum)으로도 불리는 카바(Kava)는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전통 의식에 사용되어 온 허브입니다. 전통 카바 음료는 카바 뿌리를 냉수에 침출하여 만듭니다. 일반적으로 카바를 섭취하면 숙취나 환각과 같은 부작용 없이 독특한 긴장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과도한 양을 사용할 경우 구토와 두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카바는 현대에 이르러서도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카바의 효능

항불안 효과

카바에는 카발락톤(Kavalactone)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아직 작용 기전이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카바는 긴장 완화와 관련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발레리안(Valerian)패션플라워(Passionflower)라벤더레몬밤(Lemon balm) 같은 전통적인 신경 안정제와 마찬가지로 카바는 신경전달물질인 감마 아미노낙산(GABA, Gamma-Aminobutyric acid)에 작용합니다. 감마 아미노낙산은 중추신경계의 주요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뇌 활동을 둔화시킵니다. 카발락톤은 감마 아미노낙산 수용체와는 약한 결합을 형성하지만 다른 화합물의 결합은 강화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카발락톤은 이러한 화합물의 결합을 강화함으로써 감마 아미노낙산의 활성을 높이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다른 일반적인 신경 안정제와는 달리 카바는 전압 개폐 나트륨 채널(Voltage-gated sodium channel, VGSC)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모든 세포막에 존재하는 전압 개폐 나트륨 채널은 일반 신경 기능에 중요합니다. 나트륨 채널이 열리면 전기 신호가 신경을 따라 전파되어 신경 자극이 생성됩니다. 카발락톤은 이 나트륨 채널을 차단하여 전반적인 뇌 및 신경 활동을 줄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카바 제제가 나타내는 항불안 효과는 나트륨 채널을 차단하고 감마 아미노낙산 수용체에 결합하는 카발락톤의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항염 및 항응고 효과

카바의 항염 효능은 1960년대의 동물 실험에서 밝혀지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연구에 따르면 카바는 다양한 화합물 및 자외선 노출로 인한 염증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종양괴사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는 주요한 세포 내 염증 신호전달 물질입니다. 여러 자가면역질환의 표준치료제는 종양괴사인자 알파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카바에 함유된 여러 종류의 카발락톤도 종양괴사인자 알파의 작용을 억누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내독소(Endotoxin)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의 외막에 존재하는 화합물로 염증 반응을 강하게 유도합니다. 치사량의 내독소를 투여한 생쥐에 카바를 사용했을 때 카바는 치명적인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생쥐를 보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이러한 항염 효과는 염증으로 인한 혈액 응고 현상을 감소시키는 데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효과는 전염증성 지방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통해 매개되는 염증 경로가 억제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수면 증진 효과

불안증 치료제는 불면증에, 불면증 치료제는 불안증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면증에만 효과가 있는 멜라토닌(Melatonin) 같은 예외도 있지만 불안증이나 불면증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천연 치료제는 서로 어느 정도 대체가 가능합니다. 수면을 유도하는 의약품도 불안증에 처방하는 약인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일부 임상 시험에서 카바가 불면증을 개선할 뿐 아니라 불안증에도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밝힌 것은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카바와 발레리안은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증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에서 카바와 발레리안은 모두 스트레스 수준과 불면증을 개선했습니다.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는 불안으로 인한 수면장애를 개선하는 카바의 효능을 평가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4주간의 연구 기간 동안 카바는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불안증을 완화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을 이용한 대규모 연구에서는 카바가 불면증을 개선하는 효과는 위약과 비교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적 이유로 가짜 약에 반응하는 위약 효과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연구에서 카바와 위약은 모두 불면증 중증도 점수를 절반 가까이 낮췄습니다.

불면증에 대한 카바의 효과를 완전하게 평가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카바의 불안 완화 효능을 입증하는 증거가 많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카바는 최소한 수면장애를 부분적으로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테이블 위에 올려진 카바 분말과 음료

‌‌‌‌연구에서 입증된 항불안 효과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카바는 상당히 일관적으로 항불안 효능을 나타냈습니다. 전통적인 용법과 관련된 기록에 따르면 카바는 100여 년 전부터 불안증 치료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1991년 독일에서 진행한 이중맹검 초기임상시험에서는 카바의 효능을 조사했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카바는 단 일주일 만에 불안증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를 한 달 내내 유지했습니다. 연구에서 카바와 관련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이보다 더 큰 규모로 25주간 진행된 1997년의 임상시험에서도 카바의 우수한 효능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으며 심각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또 다른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는 불안증의 표준치료제인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을 카바로 대체할 수 있는지 평가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카바는 대체 치료제로서 우수한 효과, 내약성을 나타내며 불안증을 개선했습니다.

반면 소규모의 임상시험에서 범불안장애 환자에게 카바를 투여했을 때는 위약군과 비교해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가 소규모였고 위약 효과가 컸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 연구에서 카바를 사용한 환자는 증상이 개선되었으며 위약을 투여받은 그룹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다른 소규모 연구에서 카바를 섭취한 폐경기 여성은 1달 만에 불안증이 감소했으며 3개월이 지났을 때는 증상이 더욱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넷상에서 진행한 임상시험의 경우 카바는 유의미한 효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연구 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대규모 임상시험에 따르면 카발락톤을 표준 용량의 절반만 사용해도 신경성 불안증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하지만 저용량을 사용했을 때는 이전의 다른 임상시험보다 효과가 좋지 않았습니다. 이후의 한 연구에서는 불안증 환자에게 저용량의 카바를 투여한 후 효과를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저용량의 카바는 부작용 없이 불안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정적인 결과가 나온 임상시험이 있기는 하지만 여러 문헌 검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카바는 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 논문 저자는 카바가 "명백한 불안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최근의 문헌 검토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카바는 유망한 불안증 치료제이며 4-8주 동안 단기적으로 불안증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밝혔습니다.

‌‌‌‌안전성과 부작용

카바를 약용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때 안전성 문제는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입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사용하는 경우 카바는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카바 추출물은 드물게 간 손상, 간부전, 사망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우려스럽기는 하지만 항생제, 항간질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같은 일반적인 일부 표준 약물이 유발할 수 있는 간 독성보다 발생 빈도가 훨씬 낮다는 점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간 독성에 관한 사례 보고 중에서 2008년의 데이터를 검토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가 93건의 사례 중에서 카바 섭취로 인해 간 독성이 발생한 것이 '상당히 확실하다(probable)'라고 판정한 사례는 8건에 불과했습니다. 53건은 교란요인이 있었지만 카바 섭취가 간 독성의 '원인일 수 있다(possible)'고 판단했습니다.

사례를 검토한 결과 카바와 함께 술을 섭취하면 간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카바를 섭취할 때는 음주를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작용을 일으켰던 제제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섭취하지 않는 카바 품종을 사용하여 전통 방식과는 다르게 만든 제품인 것으로 보입니다. 전통 방식의 카바 제품은 '고상한 카바(Noble kava)'의 뿌리를 냉수로 침출하여 만듭니다.

‌‌‌‌노블 카바와 투데이 카바

또한 카바의 간 독성 사례는 생산업체들이 재배하여 수출하는 카바의 종류가 달라진 사실과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노블 카바(Noble kava)는 전통 의식에 사용하는데 수확하기까지 4년 이상의 재배 기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카바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자 생산업체들은 주요한 상업적 카바 생산지인 바누아투에서 자라는 다른 카바 품종을 조사하기 시작했습니다.

화학분석 결과 '투데이 카바(Two-day kava)' 품종이 더 빨리 자라고 카발락톤 함량도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 카바 품종은 식용으로 수출하는 것이 불법이었을 뿐 아니라 전통 의식에 사용된 적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업자들은 규정을 무시하고 투데이 카바를 사용해 아세톤(Acetone) 카바 추출물을 만들었습니다. 그 직후 카바의 간 독성 사례가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카바의 안전성과 효과를 입증한 임상시험은 거의 모두 노블 카바의 알코올 추출물만을 사용했습니다. 모든 임상시험을 통틀어 총 1만4,114명이 카바 제제를 섭취했지만 간 독성이나 문제가 생긴 경우는 한 건도 없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카바가 대체적으로 안전하고 내약성이 뛰어난 것으로 결론지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 문제가 있는 사람은 만일의 경우를 위해 카바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카바는 권장량보다 많이 사용하면 안 됩니다. 

‌‌‌‌결론

카바는 오랜 세월에 걸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안전한 허브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카바는 유의미한 항불안 효과가 있으며 단기적으로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카바는 적절한 품종을 사용하여 올바른 방식으로 가공한다면 안전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문헌에 따르면 드물게 간 독성이 나타난 사례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는 수출용 및 식용으로 허가받지 않은 아세톤 추출물로 만든 투데이 카바 품종을 사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허브 제품이라도 마찬가지지만 위험을 최소화하려면 평판이 좋은 업체가 생산한 허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문헌:

  1. Thomsen M, Schmidt M. Health policy versus kava (Piper methysticum): Anxiolytic efficacy may be instrumental in restoring the reputation of a major South Pacific crop. J Ethnopharmacol. 2021;268:113582. doi:10.1016/j.jep.2020.113582
  2. Singh YN, Singh NN. Therapeutic potential of kava in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CNS Drugs. 2002;16(11):731-743. doi:10.2165/00023210-200216110-00002
  3. Bruni O, Ferini-Strambi L, Giacomoni E, Pellegrino P. Herbal Remedies and Their Possible Effect on the GABAergic System and Sleep. Nutrients. 2021;13(2):530. Published 2021 Feb 6. doi:10.3390/nu13020530
  4. MEYER HJ. ANTAGONISTISCHE WIRKUNGEN GENUINER KAWA-PYRONE BEI EXPERIMENTELLEN ENTZUENDUNGEN UND FIEBER [ANTAGONISTIC EFFECTS OF GEUNINE KAWA PYRONES IN EXPERIMENTAL INFLAMMATIONS AND FEVER]. Klin Wochenschr. 1965;43:469-470. doi:10.1007/BF01483859
  5. Pollastri MP, Whitty A, Merrill JC, Tang X, Ashton TD, Amar S.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ava-derived compounds mediating TNF-alpha suppression. Chem Biol Drug Des. 2009;74(2):121-128. doi:10.1111/j.1747-0285.2009.00838.x
  6. Bian T, Corral P, Wang Y, et al. Kava as a Clinical Nutrient: Promises and Challenges. Nutrients. 2020;12(10):3044. Published 2020 Oct 5. doi:10.3390/nu12103044
  7. Gleitz J, Beile A, Wilkens P, Ameri A, Peters T. Antithrombotic action of the kava pyrone (+)-kavain prepared from Piper methysticum on human platelets. Planta Med. 1997;63(1):27-30. doi:10.1055/s-2006-957597
  8. Kinzler E, Krömer J, Lehmann E. Wirksamkeit eines Kava-Spezial-Extraktes bei Patienten mit Angst-, Spannungs-, und Erregungszuständen nicht-psychotischer Genese. Doppelblind-Studie gegen Plazebo über 4 Wochen [Effect of a special kava extract in patients with anxiety-, tension-, and excitation states of non-psychotic genesis. Double blind study with placebos over 4 weeks]. Arzneimittelforschung. 1991;41(6):584-588.
  9. Volz HP, Kieser M. Kava-kava extract WS 1490 versus placebo in anxiety disorders--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25-week outpatient trial. Pharmacopsychiatry. 1997;30(1):1-5. doi:10.1055/s-2007-979474
  10. Malsch U, Kieser M. Efficacy of kava-kava in the treatment of non-psychotic anxiety, following pretreatment with benzodiazepines. Psychopharmacology (Berl). 2001;157(3):277-283. doi:10.1007/s002130100792
  11. Connor KM, Davidson JR. A placebo-controlled study of Kava kava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t Clin Psychopharmacol. 2002;17(4):185-188. doi:10.1097/00004850-200207000-00005
  12. Cagnacci A, Arangino S, Renzi A, Zanni AL, Malmusi S, Volpe A. Kava-Kava administration reduces anxiety in perimenopausal women. Maturitas. 2003;44(2):103-109. doi:10.1016/s0378-5122(02)00317-1
  13. Gastpar M, Klimm HD. Treatment of anxiety, tension and restlessness states with Kava special extract WS 1490 in general practic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multicenter trial. Phytomedicine. 2003;10(8):631-639. doi:10.1078/0944-7113-00369
  14. Geier FP, Konstantinowicz T. Kava treatment in patients with anxiety. Phytother Res. 2004;18(4):297-300. doi:10.1002/ptr.1422
  15. Faustino TT, Almeida RB, Andreatini R. Plantas medicinais no tratamento do transtorno de ansiedade generalizada: uma revisão dos estudos clínicos controlados [Medicinal plants for the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review of controlled clinical studies]. Braz J Psychiatry. 2010;32(4):429-436. doi:10.1590/s1516-44462010005000026
  16. Smith K, Leiras C.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Kava Kava for treating anxiety symptoms: A systematic review and 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Complement Ther Clin Pract. 2018;33:107-117. doi:10.1016/j.ctcp.2018.09.003
  17. Ooi SL, Henderson P, Pak SC. Kava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Review of Current Evidence. J Altern Complement Med. 2018;24(8):770-780. doi:10.1089/acm.2018.0001
  18. Lehrl S. Clinical efficacy of kava extract WS 1490 in sleep disturbances associated with anxiety disorders. Results of a multicenter,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published correction appears in J Affect Disord. 2004 Dec;83(2-3):287]. J Affect Disord. 2004;78(2):101-110. doi:10.1016/s0165-0327(02)00238-0
  19. Jacobs BP, Bent S, Tice JA, Blackwell T, Cummings SR. An internet-base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kava and valerian for anxiety and insomnia. Medicine (Baltimore). 2005;84(4):197-207. doi:10.1097/01.md.0000172299.72364.95
  20. Becker MW, Lourençone EMS, De Mello AF, et al. Liver transplantation and the use of KAVA: Case report. Phytomedicine. 2019;56:21-26. doi:10.1016/j.phymed.2018.08.011
  21. Brown AC. Liver toxicity related to herbs and dietary supplements: Online table of case reports. Part 2 of 5 series. Food Chem Toxicol. 2017;107(Pt A):472-501. doi:10.1016/j.fct.2016.07.001
  22. WHO, 2007. Assessment of the Risk of Hepatotoxicity with Kava Products.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43630/ 9789241595261_eng.pdf?sequence=1&isAllowed=y.

면책사항:웰니스 허브의 취지는 의학적인 진단이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