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션에 대한 기본 설정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고객님의 계정 설정을 영구적으로 변경하려면 내 계정으로 이동하세요.
원하는 수령 국가 또는 사용 언어를 내 계정에서 언제든지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beauty2 heart-circle sports-fitness food-nutrition herbs-supplements pageview
클릭하여 iHerb 접근성 정책 보기
₩40,000 이상 주문 시 무료배송
iHerb 앱
checkoutarrow
KR

팽만감 완화와 체중 조절을 돕는 프로바이오틱스

37,382 조회수

anchor-icon 목차 dropdown-icon
anchor-icon 목차 dropdown-icon

장 건강에 관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장 건강은 전반적인 건강, 웰빙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최신 연구에서는 위장이 건강하면 정신 건강, 자가면역질환, 암, 당뇨병, 심장질환, 노화 억제에 좋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장 건강은 전체 소화관에 사는 박테리아인 장내 미생물군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건강한 식단을 따르면서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장 건강을 지키고 장내 미생물군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는 체중을 줄이고 복부 팽만감과 같은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란?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건강과 소화를 돕는 이로운 박테리아 또는 효모를 말합니다. 장내에는 다양한 박테리아가 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유형의 프로바이오틱스가 밝혀졌으며 계속해서 새로운 프로바이오틱스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모든 프로바이오틱스가 똑같은 효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배합된 박테리아의 종과 균주에 따라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다양한 효능을 나타냅니다.

프로바이오틱스에 속하는 박테리아의 이름은 그 박테리아의 속명과 종명을 사용하여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는 속명이 락토바실러스이고 종명이 애시도필러스인 프로바이오틱스입니다. 박테리아 같은 종이라도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같은 종 내의 다양한 박테리아 형태를 구분하기 위해 박테리아는 균주로 세분화하여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ATCC314라는 박테리아 이름에서 'ATCC314'는 균주를 뜻합니다.

하지만 균주의 명명 규칙은 국가에 따라 다릅니다. 또한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균주에 이름을 붙여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선택할 때는 원하는 효능이 있는 검증된 균주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제품에 따라 라벨에 균주 이름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고 배합된 균주를 공개하지 않아 어떤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소화, 장 건강 그리고 체중 감량

비만이 있는 사람의 소화관에 사는 박테리아, 즉 장내 미생물군은 다양성이 감소하고 특정 박테리아의 개체수가 변화하며 박테리아가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염증 매개체가 증가하는 등 많은 변화를 겪게 됩니다. 연구 결과가 다소 상충되기는 하지만 장내 미생물 생태계가 이처럼 교란되면 복부팽만, 소화불량,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증상이 생기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러한 장내 미생물군의 변화는 직접적으로 체중 증가를 유발 및 촉진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장내 미생물 생태계가 변화되면 식품으로부터 흡수되는 칼로리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혈당 균형을 깨트리고 체중 증가의 또 다른 원인이 되는 당뇨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 생태계는 인체의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켜 에너지 저장(예: 기존 지방 조직의 양) 및 에너지 소비 측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비만한 생쥐의 장내 미생물을 채취하여 다른 동물에 이식하면 마찬가지로 체중이 증가합니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항생제를 복용하면 이후에 비만해질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어린 시절의 항생제 사용은 이후의 비만 위험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항생제는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손상시키고 박테리아 다양성을 줄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장내 미생물 생태계가 비만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합니다.

소화불량, 복부팽만을 완화하고 체중 감량을 돕는 프로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 소화불량 그리고 복부팽만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소화불량과 비만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복부팽만은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에게 흔한 증상으로 다른 위장질환이 있는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치료제는 일반적으로 복부팽만 증상을 완화하는 데도 효과적입니다.

복부팽만이 있는 사람은 정확한 근본 원인을 찾은 후에 치료해야 합니다. 복부팽만은 유당 또는 과당 불내증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복부팽만 등 기능성 위장장애가 있는 사람 중에서 많으면 50-60%는 유당 또는 과당 불내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당과 과당은 소화가 잘되지 않습니다. 유당은 유제품에서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과당은 일반적으로 , 일부 과일, 고과당 옥수수 시럽이 첨가된 가공식품에 많습니다. 유당 불내증에는 유당 분해 효소인 락타아제(Lactase)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식단에서 과당 및 젖당을 배제하는 방법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복부팽만은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 문제가 생겼음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최근 문헌 리뷰에 따르면 복합 균주 프로바이오틱스는 위장관내 가스로 인한 복부팽만과 같은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문헌 리뷰는 복합 균주 프로바이오틱스가 변비 환자의 복부팽만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이처럼 프로바이오틱스는 복부팽만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와 체중 감량

체중 감량 효과가 있다고 홍보되는 보충제 정보는 신중하게 판단해서 받아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특정 프로바이오틱스는 체중 감량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60일 동안 진행한 최근 임상시험에서 프로바이오틱스 효모 균주인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 DBVPG 6763(Saccharomyces boulardii DBVPG 6763)는 비만한 사람의 체중 감량에 큰 효과를 보였습니다.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 보충제를 섭취한 사람의 체중은 평균 6파운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연구 기간 동안 피험자들은 체지방이 감소했고 인슐린 반응도 개선되었습니다.

이보다 더 오랫동안 진행한 임상시험에서는 다음의 박테리아 균주를 배합하여 사용했습니다.

  •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CUL60(NCIMB 30157)
  •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CUL21(NCIMB 30156)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UL66(Lactobacillus plantarum CUL66, NCIMB 30280)
  •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CUL20(Bifidobacterium bifidum CUL20, NCIMB 30153)
  •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 서브스페시스 락티스 CUL34(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CUL34, NCIMB 30172)

배합된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를 9개월간 섭취한 피험자들의 체중은 평균 7파운드 감소했습니다.

소규모 연구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시로타(Lactobacillus casei Shirota)는 과체중 아동의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개월간 이 프로바이오틱스를 보충한 아동은 체중이 3% 감소했습니다.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지단백(HDL) 콜레스테롤 수치도 개선되었습니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및 BNR17 균주)에 대한 연구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체중 감량 효과를 입증한 것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동물과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프로바이오틱스의 일종인 락토바실러스 가세리는 소화관에서 지방 흡수를 감소시키고 복부 지방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체중 감량과 허리둘레 감소 효과도 관찰되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임상시험에서 프로바이오틱스의 체중 감량 효과가 입증된 것은 아닙니다. 일부 임상시험에서 프로바이오틱스는 체중은 거의 줄이지 못하고 체지방만 감소시켰지만 다른 임상시험에서는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상충된 결과가 나온 이유는 연구에서 사용한 균주의 종류,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의 양과 투여 기간, 건강 범주, 피험자의 식습관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구에 사용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함유되어 있다고 표시된 박테리아 균주의 배양에 실패한 일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프로바이오틱스를 고를 때는 제품 품질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프리바이오틱스란?

어떤 경우에는 프로바이오틱스만 사용해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복부팽만을 완화하고 체중을 줄이려 한다면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을 함께 고려하는 것도 중요할 수 있습니다 섬유소는 사람이 소화할 수 없지만 장내 박테리아의 먹이가 될 수 있는 탄수화물입니다.

흔히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로 불리는 이러한 섬유소는 좋은 장내 미생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 복부팽만을 겪는 사람의 경우 특정 유형의 섬유소 보충제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프리바이오틱스를 선택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부 프리바이오틱스 보충제는 장기간 사용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Guar gum)은 가용성 섬유소로 복부팽만을 비롯하여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증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의 체중 감량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가용성 섬유소 보충제는 체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소화관 모델을 사용한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은 지방 흡수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방 흡수가 줄면 결과적으로 체중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아카시아검

또 다른 가용성 섬유소인 아카시아검(Acacia gum)도 팽만감 완화와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동물을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에 따르면 아카시아검 보충제는 체중 감량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에서 아카시아검은 생쥐의 체중과 음식 섭취를 감소시키고 복부 지방을 줄였습니다. 고당, 고지방 먹이에 아카시아검을 추가해 생쥐에게 먹였을 때 체중을 줄이고 혈당 및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었습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도 아카시아검은 효과적이었습니다. 한 임상시험에 따르면 아카시아검을 보충한 제2형 당뇨병 환자는 복부 지방이 23.7% 감소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 6주간 아카시아검을 섭취한 여성은 체질량지수와 체지방이 줄었습니다. 또한 아카시아검은 식사 후 포만감을 높여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아카시아검을 고용량으로 사용했을 때 일시적인 복부팽만과 가벼운 설사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아카시아검은 발효가 빨리 일어나지 않으므로 다른 섬유소에 비해 가스와 복부팽만이 발생할 위험이 훨씬 낮습니다. 또한 아카시아검은 프리바이오틱스로 기능하기 때문에 복부팽만의 원인이 되는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고용량의 아카시아검은 일시적으로 위장 문제를 유발할 수 있지만 장기간 사용하면 복부팽만과 배변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카시아검 보충제를 사용할 때는 저용량으로 시작하여 내약성에 따라 천천히 늘리면 일시적인 위장관계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결론

연구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 보충제는 복부팽만 같은 과민성대장증후군 증상을 완화하고 체중을 감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구아검 및 아카시아검과 같이 내약성이 우수한 섬유소 보충제도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개선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가공식품을 적게 포함하고 건강에 좋은 자연식품 위주로 구성한 식단을 따르면서 이러한 보충제를 섭취하면 소화기 건강을 개선하고 체중을 감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1. Aasbrenn M, Høgestøl I, Eribe I, et al.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patients with morbid obesity: a cross-sectional study. BMC Obes. 2017;4:22. Published 2017 Jun 29. doi:10.1186/s40608-017-0159-z
  2. Ahmed AA, Musa HH, Fedail JS, Sifaldin AZ, Musa TH. Gum arabic suppressed diet-induced obesity by altering the expression of mRNA levels of genes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in mouse liver. Bioact. Carbohydr. 식단 Fibre. 2016;7(1):15-20.
  3. Babiker R, Elmusharaf K, Keogh MB, Saeed AM. Effect of Gum Arabic (Acacia Senegal) supplementation on visceral adiposity index (VAI) and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s indica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a randomized a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Lipids Health Dis. 2018;17(1):230. Published 2018 Mar 20. doi:10.1186/s12944-018-0711-y
  4. Babiker R, Merghani TH, Elmusharaf K, Badi RM, Lang F, Saeed AM. Effects of Gum Arabic ingestion on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percentage in healthy adult females: two-arm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double-blind trial. Nutr J. 2012;11:111. Published 2013 Dec 27. doi:10.1186/1475-2891-12-166
  5. Berman S, Diane S, Eichelsdoerfer P. Quality assurance of lactobacillus products commercially available in Washington State. J Investig Med. 2003;51.
  6. Calame W, Thomassen F, Hull S, Viebke C, Siemensma AD. Evaluation of satiety enhancement, including compensation, by blends of gum arabic. A methodological approach. Appetite. 2011;57(2):358-364. doi:10.1016/j.appet.2011.06.005
  7. Czajeczny D, Kabzińska K, Wójciak RW. Does probiotic supplementation aid weight loss? A randomized, sing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ith Bifidobacterium lactis BS01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LA02 supplementation. Eat Weight Disord. 2021;26(6):1719-1727. doi:10.1007/s40519-020-00983-8
  8. Eyvazi S, Vostakolaei MA, Dilmaghani A, et al. The oncogenic roles of bacterial infections in development of cancer. Microb Pathog. 2020;141:104019. doi:10.1016/j.micpath.2020.104019
  9. Ferrarese R, Ceresola ER, Preti A, Canducci F. Probiotics, prebiotics and synbiotics for weight loss and metabolic syndrome in the microbiome era. Eur Rev Med Pharmacol Sci. 2018;22(21):7588-7605. doi:10.26355/eurrev_201811_16301
  10. Fontana L, Partridge L. Promoting health and longevity through diet: from model organisms to humans. Cell. 2015;161(1):106-118. doi:10.1016/j.cell.2015.02.020
  11. Jamshidi P, Hasanzadeh S, Tahvildari A, et al. Is there any association between gut microbiota and type 1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Gut Pathog. 2019;11:49. Published 2019 Oct 14. doi:10.1186/s13099-019-0332-7
  12. Jarrar AH, Stojanovska L, Apostolopoulos V, et al. The Effect of Gum Arabic (Acacia Senegal)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Adults at Risk of Metabolic Syndrom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Nutrients. 2021;13(2):530. Published 2021 Jan 9. doi:10.3390/nu13010194
  13. Kadooka Y, Sato M, Imaizumi K, et al. Regulation of abdominal adiposity by probiotics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in adults with obese tendencies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 J Clin Nutr. 2010;64(6):636-643. doi:10.1038/ejcn.2010.19
  14. Kim J, Yun JM, Kim MK, Kwon O, Cho B. Lactobacillus gasseri BNR17 Supplementation Reduces the Visceral Fat Accumulation and Waist Circumference in Obese Adult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J Med Food. 2018;21(5):454-461. doi:10.1089/jmf.2017.3937
  15. Li W, Huang A, Zhu H, et al. Gut microbiota-derived trimethylamine N-oxide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Med J Aust. 2020;213(8):374-379. doi:10.5694/mja2.50781
  16. Marzio L, Del Bianco R, Donne MD, Pieramico O, Cuccurullo F. Mouth-to-cecum transit time in patients affected by chronic constipation: effect of glucomannan. Am J Gastroenterol. 1989;84(8):888-891.
  17. Michael DR, Davies TS, Jack AA, et al. Daily supplementation with the Lab4P probiotic consortium induces significant weight loss in overweight adults. Sci Rep. 2021;11(1):5. Published 2021 Jan 6. doi:10.1038/s41598-020-78285-3
  18. Minekus M, Jelier M, Xiao JZ, et al. Effect of partially hydrolyzed guar gum (PHGG) on the bioaccessibility of fat and cholesterol.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5;69(5):932-938. doi:10.1271/bbb.69.932
  19. Nagata S, Chiba Y, Wang C, Yamashiro Y. The effects of the Lactobacillus casei strain on obesity in children: a pilot study. Benef Microbes. 2017;8(4):535-543. doi:10.3920/BM2016.0170
  20. Niu HL, Xiao JY. The efficacy and safety of probiotics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Evidence based on 35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t J Surg. 2020;75:116-127. doi:10.1016/j.ijsu.2020.01.142
  21. Niv E, Halak A, Tiommny E, et al. Randomized clinical study: Partially hydrolyzed guar gum (PHGG) versus placebo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Nutr Metab (Lond). 2016;13:10. Published 2016 Feb 6. doi:10.1186/s12986-016-0070-5
  22. Ogawa A, Kadooka Y, Kato K, Shirouchi B, Sato M.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reduces postprandial and fasting serum non-esterified fatty acid levels in Japanese hypertriacylglycerolemic subjects. Lipids Health Dis. 2014;13:36. Published 2014 Feb 19. doi:10.1186/1476-511X-13-36
  23. Ogawa A, Kobayashi T, Sakai F, Kadooka Y, Kawasaki Y.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suppresses fatty acid release through enlargement of fat emulsion size in vitro and promotes fecal fat excretion in healthy Japanese subjects. Lipids Health Dis. 2015;14:20. Published 2015 Mar 20. doi:10.1186/s12944-015-0019-0
  24. Pickett-Blakely O. Obesity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a comprehensive review. Gastroenterol Hepatol (N Y). 2014;10(7):411-416.
  25. Rautmann AW, de La Serre CB. Microbiota's Role in Diet-Driven Alterations in Food Intake: Satiety, Energy Balance, and Reward. Nutrients. 2021;13(9):3067. Published 2021 Aug 31. doi:10.3390/nu13093067
  26. Rondanelli M, Miraglia N, Putignano P, et al. Effects of 60-Day Saccharomyces boulardii and Superoxide Dismutase Supplementation on Body Composition, Hunger Sensation, Pro/Antioxidant Ratio, Inflammation and Hormonal Lipo-Metabolic Biomarkers in Obese Adults: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Nutrients. 2021;13(8):2512. Published 2021 Jul 23. doi:10.3390/nu13082512
  27. Sehgal K, Khanna S. Gut microbiota: a target for intervention in obesity. Exper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21;15(10):1169-1179. doi:10.1080/17474124.2021.1963232
  28. Sergeev IN, Aljutaily T, Walton G, Huarte E. Effects of Synbiotic Supplement on Human Gut Microbiota, Body Composition and Weight Loss in Obesity. Nutrients. 2020;12(1):222. Published 2020 Jan 15. doi:10.3390/nu12010222
  29. So D, Yao CK, Gill PA, Pillai N, Gibson PR, Muir JG. Screening dietary fibres for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abolic profiles using a rapid in vitro approach: implications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Br J Nutr. 2021;126(2):208-218. doi:10.1017/S0007114520003943
  30. Simpson CA, Diaz-Arteche C, Eliby D, Schwartz OS, Simmons JG, Cowan CSM. The gut microbiota in anxiety and depression - A systematic review. Clin Psychol Rev. 2021;83:101943. doi:10.1016/j.cpr.2020.101943
  31. Tsukumo DM, Carvalho BM, Carvalho Filho MA, Saad MJ. Translational research into gut microbiota: new horizons on obesity treatment: updated 2014. Arch Endocrinol Metab. 2015;59(2):154-160. doi:10.1590/2359-3997000000029
  32. Vallianou N, Dalamaga M, Stratigou T, Karampela I, Tsigalou C. Do Antibiotics Cause Obesity Through Long-term Alterations in the Gut Microbiome? A Review of Current Evidence. Curr Obes Rep. 2021;10(3):244-262. doi:10.1007/s13679-021-00438-w
  33. Vieira JRP, Rezende ATO, Fernandes MR, da Silva NA. Intestinal microbiota and activ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 systematic review. Adv Rheumatol. 2021;61(1):42. Published 2021 Jul 2. doi:10.1186/s42358-021-00201-8
  34. Wilder-Smith CH, Materna A, Wermelinger C, Schuler J. Fructose and lactose intolerance and malabsorption testing: the relationship with symptoms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liment Pharmacol Ther. 2013;37(11):1074-1083. doi:10.1111/apt.12306
  35. Xu B, Fu J, Qiao Y, et al. Higher intake of microbiota-accessible carbohydrates and improve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 meta-analysis and umbrella review of dietary management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m J Clin Nutr. 2021;113(6):1515-1530. doi:10.1093/ajcn/nqaa435
  36. Zhang C, Jiang J, Tian F, et al.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the effects of probiotics on functional constipation in adults. Clin Nutr. 2020;39(10):2960-2969. doi:10.1016/j.clnu.2020.01.005

면책사항:웰니스 허브의 취지는 의학적인 진단이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세히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