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션에 대한 기본 설정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고객님의 계정 설정을 영구적으로 변경하려면 내 계정으로 이동하세요.
원하는 수령 국가 또는 사용 언어를 내 계정에서 언제든지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 beauty2 heart-circle sports-fitness food-nutrition herbs-supplements pageview
클릭하여 iHerb 접근성 정책 보기
₩40,000 이상 주문 시 무료배송
iHerb 앱
checkoutarrow
KR

파킨슨병을 관리하는 자연적 방법

56,111 조회수

anchor-icon 목차 dropdown-icon
anchor-icon 목차 dropdown-icon

현대 의학의 진보와 함께 파킨슨병 환자도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길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파킨슨병의 정의, 관리법, 자연적으로 증상을 개선하는 방법 등 파킨슨병에 대한 기본 지식을 알려드립니다.

파킨슨병이란?

파킨슨병은 전 세계 인구의 약 1%에게 생기는 퇴행성 신경질환입니다. 파킨슨병은 근골격계(대근육 및 소근육 운동능력), 자율신경계, 소화계, 기분, 인지력 등을 포함하여 전신에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파킨슨병 증상은 운동성 및 비운동성 증상으로 나뉩니다.

오랜 시간에 걸쳐 현대 의학은 파킨슨병이 뇌 흑질의 도파민성 뉴런(Dopaminergic neuron)이 부족해서 생기며 떨림(Tremor)이 대표적 증상인 질환임을 밝혔을 뿐 아니라 중추신경계 문제가 나타나기 수십 년부터 진행되는 전신 질환이라는 사실도 규명했습니다. 도파민(Dopamine)뿐 아니라 여러 신경전달물질이 파킨슨병의 발병에 관여하며 만성 염증, 세포 손상, 단백질 당화, 고혈당, 운동 부족, 잘못된 식습관은 파킨슨병의 진행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파킨슨병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수도 있겠지만 역으로 생각하면 생활습관을 바꾸는 자연적이고 과학적으로 입증된 방법을 통해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이미 파킨슨병에 걸린 경우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의미도 됩니다. 의사와 상담을 마치고 병원 문을 나선 후 일상생활에서 내리는 모든 결정이 자신의 건강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식탁이나 체육관, 집에서 행하는 모든 행위들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올바른 선택을 통해 파킨슨병 등 많은 질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 증세를 개선하는 것으로 입증된 흥미롭고 쉬운 치료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약물이 파킨슨병 치료에 필수적인 이유

케이트 박사가 제일 우선적인 '자연' 치료법으로 왜 약물을 복용하라는 것인지 의문을 가지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그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뇌에 도파민이 충분히 없다면 아래에서 소개할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치료법이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입니다. 뇌 기능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도파민을 보충해주는 약물은 파킨슨병을 치료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뇌와 신체에서 도파민이 수행하는 역할

도파민은 외출, 요리, 운동과 같은 일상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며 보상감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도파민은 몸의 움직임을 조율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파킨슨병 환자는 도파민이 부족하면 우울증, 무관심, 피로, 떨림, 균형감 저하와 같은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몸이 말을 듣지 않고 움직일 수 없는 보행 동결 증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위에 열거한 증상만 보더라도 달리기를 하러 외출하거나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하거나 식료품점에 가서 새로운 식물성 식단(파킨슨병의 진행을 늦추는 것으로 입증된 자연 치유법)을 위한 재료를 구매하는 것과 같은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하기가 얼마나 어려울지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도파민이 부족하면 삼키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보충제나 음식을 섭취하는 데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파킨슨병에 대한 천연 치유법을 시도하기 전에 도파민 수치를 먼저 정상화해야 합니다.

도파민 약물 중에서도 시네멧(Sinemet), 리타리(Rytary), 카비도파-레보도파(Carbidopa-Levodopa), 두오파(Duopa)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레보도파(Levodopa)는 인체의 도파민에 가장 가까운 합성 물질입니다. 이러한 도파민 제제는 실제로 효과가 좋습니다. 기립, 보행, 안면근육 움직임이 불가능한 파킨슨병 환자들이 레보도파를 복용한 지 몇 시간 만에 증상이 크게 호전되는 경우를 목격해 왔습니다. 저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신경과 전문의와 파킨슨병 전문가도 도파민 약물이 효과적이라는 데 동의합니다. 적절한 영양소를 섭취하면서 올바른 방법으로 도파민 약물을 사용한다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약물 복용 방법

경구용 파킨슨병 약제가 최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약이 잘 소화되고 흡수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파킨슨병 환자에게 적합한 약물 투여 계획을 세울 때 영양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1. 식사 대신 간단한 간식과 함께 파킨슨병약을 복용합니다

도파민 보충 약제는 고지방, 고단백 식사와 함께 섭취하는 것을 피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을 통과한 아미노산과 펩타이드(Peptide)가 흡수되기 위해 경쟁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많은 양의 식사는 위산을 희석하여 약제가 혈류로 흡수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과와 같은 저단백 간식 대신 큰 스테이크와 함께 도파민 보충 약제를 섭취하는 경우 약물의 흡수율이 떨어집니다.

파킨슨병 환자는 단백질과 도파민성 약제를 함께 섭취하는 것을 피해야 하므로 단백질과 기타 영양소가 부족하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단백질은 인체가 스스로 치유하고 조직을 복구하며 혈당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영양소이기 때문에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자연요법 의사나 공인 영양사, 영양 상담사와 협력하여 약물 흡수율을 높이면서 영양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식단을 짜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파킨슨병 환자에게 식사 시간을 조절하고 식간에 단백질 셰이크를 마시며 수시로 간식을 섭취하고 약 복용 시간을 피해 콜라겐(Collagen) 분말을 넣은 음료를 마시도록 조언합니다.

2. 도파민성 약물은 비타민B군과 함께 복용합니다

신체에서 도파민성 약물을 대사하려면 비타민B6콜린(Choline)아연비타민B12 같은 보조인자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부족하면 부작용 없이 도파민성 약물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신체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비타민B6와 비타민B12 결핍은 아주 흔합니다. 미국 인구의 약 10%는 비타민B6가 결핍된 상태이며 2% 정도는 비타민B12가 부족합니다. 비타민B군이 풍부한 , 육류와 같은 식품은 단백질 공급원이기도 하므로 파킨슨병 환자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고 저단백 식단을 시도한다면 이러한 결핍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비타민B군과 아연의 하루 권장섭취량 이상을 함유한 비타민B 영양제나 종합비타민을 통해 이러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도파민성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삼키는 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은 설하정 형태의 비타민B12나 액상 종합비타민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B12와 엽산을 보충하면 L-도파(L-Dopa)를 함유하는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신경 및 심혈관 조직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물과 전해질을 충분히 섭취해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도파민성 약물 복용 시 흔히 생기는 부작용의 하나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증상으로는 일어설 때 어지러움, 저혈압으로 인한 피로감, 브레인 포그(Brain fog)의 빈번한 발생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기립성 저혈압이 있을 경우 보행 중에 쓰러질 위험이 증가합니다. 물, 카페인이 없는 차, 당 함량이 낮은 스포츠음료를 충분히 마시고 전해질과 단백질을 적절히 섭취하면 도파민 약물 복용 시 기립성 저혈압이 생길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권장 사항을 잘 따르면 혈압을 정상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도파민을 자연적으로 보충하는 방법

파킨슨병 치료에 레보도파 같은 도파민성 약제 대신 벨벳콩(무쿠나 프루리언스, Mucuna pruriens)을 사용해도 괜찮은지 문의하는 환자가 많습니다. 경우에 따라 그 대답이 다를 수 있습니다.

벨벳콩은 L-도파가 풍부하게 함유된 식물입니다. 여러 연구에서는 벨벳콩이 파킨슨병의 운동 장애를 완화하는 데 레보도파만큼 효과적일 뿐 아니라 부작용은 더 적을 수 있는 것으로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약제를 구하기 어려운 외딴 지역에서 주로 수행되었습니다.

현재 벨벳콩은 치료제로 처방할 수 없습니다. 이는 벨벳콩이 미국의 의약품과는 달리 안전 및 순도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벨벳콩을 섭취할 때는 벨벳콩이 오염되었거나 제품 라벨에 표시된 함량이 정확하지 않을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또한 벨벳콩 제품은 보험도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매일 벨벳콩을 섭취하는 데 드는 비용이 레보도파보다 훨씬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과 비용이 문제가 안 되는 사람에게는 벨벳콩이 천연 파킨슨병을 다스리는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의사의 지시에 따라 섭취량을 결정하고 지속적으로 용량을 적절히 조정해야 합니다. 의사 중에서도 약용 허브에 정통한 자연요법 의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파킨슨병 증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약물도 많습니다. 이 글은 도파민성 약제의 효과를 높이는 생활방식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출발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파킨슨병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신경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신체 기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알아보십시오. 

파킨슨병 자연 치유법의 핵심은 운동

도파민 수치를 충분히 높였다면 그다음은 몸을 움직이는 문제에 집중해야 합니다. 운동은 도파민성 약물 다음으로 파킨슨병에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여 자신의 증상과 능력에 적합한 안전한 운동법을 찾아야 합니다. 전반적인 치료 결과, 삶의 질, 일반적인 파킨슨병 증상을 개선하려면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중요함을 유념해야 합니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운동은 균형, 낙상 위험, 우울증, 에너지, 근력, 움직이는 속도, 수면 등과 관련된 파킨슨병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운동을 통해 파킨슨병 증상을 완화한다는 것은 쉽게 들리지만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

많은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운동이 파킨슨병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근력 운동
  • 균형 운동
  • 탱고, 폭스트롯 등의 춤
  • 요가
  • 달리기
  • 복싱

몸을 움직여 파킨슨병 치료하기

일반적으로 몸을 움직이는 데는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신체를 움직이는 활동은 누구나 할 수 있으며 파킨슨병 증상을 완화하는 데 실제로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균형감, 근력, 동기부여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라면 정기적으로 몸을 움직이는 것이 버겁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신체 활동 전문가의 도움을 얻는 것이 좋습니다. 물리 치료사, 개인 트레이너, 척추교정사, 운동 코치, 피트니스 강사와 같은 신체 활동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 안전하게 움직이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즐기는 방법을 배우십시오. 그러면 장기적으로 파킨슨병을 잘 다스리면서 활동적인 삶을 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약물 치료의 필요성을 설명한 바 있습니다. 약물은 운동 기능 장애를 최대한 완화하고 움직이는 능력을 극대화하여 궁극적으로 파킨슨병 환자가 근력, 유연성, 균형 기능을 강화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실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파킨슨병은 무관심과 우울증 같은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운동 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친구와 함께 복싱 체육관을 나가거나 하이킹 클럽에 가입하거나 필라테스 강좌에 참여하십시오. 유기견보호센터에 자원봉사를 신청해 개를 산책시킨다거나 손주를 데리고 공원에 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어떻게든 의무감을 통해서라도 자신에게 신체 활동을 강제하는 방법이 있다면 이를 일정에 추가하여 무관심, 우울증 같은 파킨슨병 증상으로 인해 운동 계획을 지키지 않게 되는 일을 방지하십시오. 지역에서 참여할 만한 단체를 찾을 수 없다면 인터넷을 검색해 보십시오.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효과를 보려면 안전하게 몸을 움직이는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물리치료사, 정형외과 의사와 같은 전문 의료인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신체 상태에 가장 적합하게 움직이는 방법을 배워 실천하십시오.

파킨슨병 관리를 위한 식습관 개선

일반적으로 혈당지수가 낮은 섬유소, 비타민, 미네랄, 완전 단백질, 수분을 충분히 포함하는 식단은 염증을 유발하는 오일, 정제된 설탕이 많고 칼로리가 지나치게 높은 식단보다 파킨슨병 및 기타 퇴행성 신경질환에 좋습니다. 파킨슨병 환자의 건강을 지키려면 다음을 실천하여 신경섬유와 세포막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적절한 세포 기능을 지원하는 비타민과 미네랄을 섭취합니다.
  • 염증을 유발하는 오일, 정제된 설탕, 칼로리가 과도한 식품처럼 염증, 독성, 세포 간 신호전달 장애를 일으켜 세포를 손상시키는 식재료 사용을 줄입니다.

과일, 채소, 덩이줄기 채소, 견과류, 씨앗, 콩류와 같은 식물성 식품과 적당한 양의 동물성 단백질은 이러한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 식품으로 파킨슨병 환자에게 아주 좋습니다.

위의 식품으로 구성한 식단은 지중해식, 대시(DASH), 월스(Wahls), 홀30(Whole 30) 식단 등과 같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파킨슨병 환자는 많은 과일과 채소를 포함하는 천연 식품 위주로 구성한 식단을 따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식품의 섭취량에 비례하여 파킨슨병 증상의 장기적인 개선 효과가 높아진다는 상관관계를 제시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쉽게 말해 이러한 식품을 많이 섭취할수록 파킨슨병 환자의 증상 완화에 더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탄산음료, 통조림 식품, 튀긴 식품, 가공 유제품은 장기적으로 파킨슨병의 진행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저는 환자들에게 식단을 제한하지 말고 위에 열거된 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데 집중하라고 조언합니다. 매끼 식사에 2인분의 과일이나 채소 2인분을 추가하고 트레일 믹스(Trail mix)와 견과류, 씨앗 위주의 간식은 수시로, 연어와 같은 오메가3가 풍부한 생선은 매주 수차례 섭취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도움이 됩니다.

구체적인 조언이 필요하면 자연요법 의사 또는 영양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식단을 짜는 것이 좋습니다. 삼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작업치료사 및 신경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건강에 좋은 식품을 안전한 방법으로 섭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식사 계획을 세우십시오.

파킨슨병의 증상을 개선하는 저혈당 식단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이 있는 사람은 혈당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혈당 관련 질환인 고혈당증과 당뇨병은 뇌 같은 신체 기관으로 산소를 전달하는 기능의 저하,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혈류 장애, 뇌 부피 감소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파킨슨병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식단에는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 채소, 곡물, 콩류, 단백질 공급원과 같은 저혈당 식품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고혈당 증상이 있는 사람은 의사나 영양 전문가와 상담하여 혈당을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킨슨병 관리를 위한 보충제

많은 파킨슨병 환자들은 건강 관리를 위해 보충제를 섭취합니다. 파킨슨병 환자의 보충제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다음의 보충제는 파킨슨병 증세의 진행 속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코큐텐은 세포의 에너지 생성을 돕는 중요한 항산화 물질입니다.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세포 에너지 대사 장애는 파킨슨병 발병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코큐텐이 부족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비처방약인 코큐텐 보충제를 규칙적으로 섭취하면 코큐텐 수치를 건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여러 동물연구에 따르면 코큐텐 보충제는 파킨슨병 증상의 진행을 멈추거나 역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는 줄여서 5MTHF로 부르기도 합니다. 5-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는 엽산보다 생체이용률이 더 높은 것으로 여겨지는 메틸화된 형태의 엽산입니다. 많은 파킨슨병 환자는 일부 파킨슨병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이 글의 앞부분에서 소개한 치료법의 일부로 5-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를 복용합니다.

강황레스베라트롤퀘르세틴은 주로 항산화 기능을 통해 세포막 건강을 지키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항산화 물질은 체세포의 지방층을 손상시키는 활성산소를 억제합니다. 항산화 물질은 이러한 억제작용을 통해 세포막을 보호하고 세포의 에너지 생성 및 신호 전달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합니다. 

종합비타민에도 항산화 효능이 있는 많은 종류의 미네랄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또한 종합비타민은 영양 결핍을 방지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최대한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충제는 대부분 안전하지만 새로운 보충제를 섭취할 때는 항상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킨슨병 환자는 증상을 관리하면서 정상적인 삶을 누릴 수 있다는 확신에 찬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 이 글이 좋은 출발점이 되었으면 합니다.

참고문헌:

  1. Bus, Christine, et al. “Human Dopaminergic Neurons Lacking PINK1 Exhibit Disrupted Dopamine Metabolism Related to Vitamin B6 Co-Factors.” IScience, vol. 23, no. 12, Dec. 2020, p. 101797,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702004/, 10.1016/j.isci.2020.101797. Accessed 30 Mar. 2021.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t al. CDC’s Second Nutrition Report: A Comprehensive Biochemical Assessment of the Nutrition Status of the U.S. Population Report Measures 58 Indicators of Diet and Nutrition New Report Uses NHANES Results. 2012.
  3. Cilia, Roberto, et al. “Mucuna Pruriens in Parkinson Disease.” Neurology, vol. 89, no. 5, 5 July 2017, pp. 432–438,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539737/, 10.1212/wnl.0000000000004175. Accessed 30 Mar. 2021.
  4. Corcos, Daniel M., et al. “A Two-Yea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for Parkinson’s Disease.” Movement Disorders, vol. 28, no. 9, 27 Mar. 2013, pp. 1230–1240,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701730/, 10.1002/mds.25380. Accessed 27 Mar. 2021.
  5. Dorszewska, Jolanta, et al. “Molecular Effects of L-Dopa Therapy in Parkinson’s Disease.” Current Genomics, vol. 15, no. 1, 31 Mar. 2014, pp. 11–17,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58954/, 10.2174/1389202914666131210213042. Accessed 30 Mar. 2021.
  6. Ellis, Terry, and Lynn Rochester. “Mobilizing Parkinson’s Disease: The Future of Exercise.” Journal of Parkinson’s Disease, vol. 8, no. s1, 18 Dec. 2018, pp. S95–S100,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311359/, 10.3233/jpd-181489. Accessed 30 Mar. 2021.
  7. Elstner, Matthias, et al. “Single-Cell Expression Profiling of Dopaminergic Neurons Combined with Association Analysis Identifies Pyridoxal Kinase as Parkinson’s Disease Gene.” Annals of Neurology, vol. 66, no. 6, Dec. 2009, pp. 792–798,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034432/, 10.1002/ana.21780. Accessed 30 Mar. 2021.
  8. Enzinger, C., et al. “Risk Factors for Progression of Brain Atrophy in Aging: Six-Year Follow-up of Normal Subjects.” Neurology, vol. 64, no. 10, 23 May 2005, pp. 1704–1711, pubmed.ncbi.nlm.nih.gov/15911795/, 10.1212/01.wnl.0000161871.83614.bb. Accessed 30 Mar. 2021.
  9. Fereshtehnejad, Seyed-Mohammad, et al. “Evolution of Prodromal Parkinson’s Disease and Dementia with Lewy Bodies: A Prospective Study.” Brain, vol. 142, no. 7, 20 May 2019, pp. 2051–2067, pubmed.ncbi.nlm.nih.gov/31111143/, 10.1093/brain/awz111. Accessed 30 Mar. 2021.
  10. Giardini, Marica, et al. “Instrumental or Physical-Exercise Rehabilitation of Balance Improves Both Balance and Gait in Parkinson’s Disease.” Neural Plasticity, vol. 2018, 2018, pp. 1–17,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863303/, 10.1155/2018/5614242. Accessed 27 Mar. 2021.
  11. Guilarte, Tomas R. “Effect of Vitamin B-6 Nutrition on the Levels of Dopamine, Dopamine Metabolites, Dopa Decarboxylase Activity, Tyrosine, and GABA in the Developing Rat Corpus Striatum.” Neurochemical Research, vol. 14, no. 6, June 1989, pp. 571–578, pubmed.ncbi.nlm.nih.gov/2761676/, 10.1007/bf00964920. Accessed 30 Mar. 2021.
  12. Hackney, ME, and GM Earhart. “Effects of Dance on Movement Control in Parkinson’s Disease: A Comparison of Argentine Tango and American Ballroom.”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 41, no. 6, 2009, pp. 475–481,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688709/, 10.2340/16501977-0362. Accessed 27 Mar. 2021.
  13. Hunter, Randy L., et al. “Intrastriatal Lipopolysaccharide Injection Induces Parkinsonism in C57/B6 Mice.”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vol. 87, no. 8, June 2009, pp. 1913–1921,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692550/, 10.1002/jnr.22012. Accessed 30 Mar. 2021.
  14. Mao, Cheng-jie, et al. “Serum Sodium and Chloride Are Inversely Associated with Dyskinesia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Brain and Behavior, vol. 7, no. 12, 9 Nov. 2017, p. e00867,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745246/, 10.1002/brb3.867. Accessed 30 Mar. 2021.
  15. Mischley, Laurie K., et al. “Role of Diet and Nutritional Supplements in Parkinson’s Disease Progression.” Oxidative Medicine and Cellular Longevity, vol. 2017, 2017, pp. 1–9,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610862/, 10.1155/2017/6405278. Accessed 30 Mar. 2021.
  16. Muthukumaran, Krithika, et al. “Orally Delivered Water Soluble Coenzyme Q10 (Ubisol-Q10) Blocks On-Going Neurodegeneration in Rats Exposed to Paraquat: Potential for Therapeutic Application in Parkinson’s Disease.” BMC Neuroscience, vol. 15, no. 1, 2014, p. 21,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17573/, 10.1186/1471-2202-15-21. Accessed 31 Mar. 2021.
  17. NHANES -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omepage. 2021, www.cdc.gov/nchs/nhanes/index.htm. Accessed 30 Mar. 2021.
  18.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 Vitamin B6.” Nih.gov, 2017, ods.od.nih.gov/factsheets/VitaminB6-HealthProfessional/. Accessed 30 Mar. 2021.
  19.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 Vitamin B12.” Nih.gov, 2017, ods.od.nih.gov/factsheets/VitaminB12-HealthProfessional/. Accessed 30 Mar. 2021.
  20. Oguh, O., et al. “Back to the Basics: Regular Exercise Matters in Parkinson’s Disease: Results from the National Parkinson Foundation QII Registry Study.” Parkinsonism & Related Disorders, vol. 20, no. 11, Nov. 2014, pp. 1221–1225, pubmed.ncbi.nlm.nih.gov/25258329/, 10.1016/j.parkreldis.2014.09.008. Accessed 30 Mar. 2021.
  21. Petzinger, Giselle M, et al. “Exercise-Enhanced Neuroplasticity Targeting Motor and Cognitive Circuitry in Parkinson’s Disease.” The Lancet Neurology, vol. 12, no. 7, July 2013, pp. 716–726,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690528/, 10.1016/s1474-4422(13)70123-6. Accessed 27 Mar. 2021.
  22. Ramya KB;Thaakur S. “Herbs Containing L- Dopa: An Update.” Ancient Science of Life, vol. 27, no. 1, 2019, pubmed.ncbi.nlm.nih.gov/22557260/, . Accessed 30 Mar. 2021.
  23. Renaud, Justine, et al. “The Sweet Road to Parkinson’s Disease.” Aging, vol. 11, no. 3, 1 Feb. 2019, pp. 853–854,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382427/, 10.18632/aging.101806. Accessed 30 Mar. 2021.
  24. Seppi, Klaus, et al. “Update on Treatments for Nonmotor Symptoms of Parkinson’s Disease—an Evidence‐Based Medicine Review.” Movement Disorders, vol. 34, no. 2, 17 Jan. 2019, pp. 180–198,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916382/, 10.1002/mds.27602. Accessed 30 Mar. 2021.
  25. Sergi, Domenico, et al. “Diabetes, a Contemporary Risk for Parkinson’s Disease: Epidemiological and Cellular Evidences.”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vol. 11, 8 Nov. 2019,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856011/, 10.3389/fnagi.2019.00302. Accessed 30 Mar. 2021.
  26. Sivandzade, Farzane, et al. “NRF2 and NF-ҚB Interplay in Cerebrovascular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Molecular Mechanisms and Possible Therapeutic Approaches.” Redox Biology, vol. 21, Feb. 2019, p. 101059,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302038/, 10.1016/j.redox.2018.11.017. Accessed 30 Mar. 2021.
  27. Vicente Miranda, Hugo, et al. “Glycation in Parkinson’s Disease and Alzheimer’s Disease.” Movement Disorders, vol. 31, no. 6, 4 Mar. 2016, pp. 782–790, pubmed.ncbi.nlm.nih.gov/26946341/, 10.1002/mds.26566. Accessed 30 Mar. 2021.
  28. Wu, Pei-Ling, et al. “Effectiveness of Physical Activity on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Parkinson’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PLOS ONE, vol. 12, no. 7, 27 July 2017, p. e0181515,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531507/, 10.1371/journal.pone.0181515. Accessed 27 Mar. 2021.
  29. Yang, Lichuan, et al. “Combination Therapy with Coenzyme Q10and Creatine Produces Additive Neuroprotective Effects in Models of Parkinson’s and Huntington’s Diseases.” Journal of Neurochemistry, vol. 109, no. 5, June 2009, pp. 1427–1439,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866530/, 10.1111/j.1471-4159.2009.06074.x. Accessed 31 Mar. 2021.

면책사항:웰니스 허브의 취지는 의학적인 진단이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세히 알아보기